728x90
반응형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처음으로 서울세계불꽃축제 2022가 10월 8일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개최된다. 

2022년 다시 시작하는 불꽃축제인 만큼 다채로움이 강화되었다는 주최 측인 한화의 설명이 덧붙었다.

 

사실 현장에서 음악 선율에 맞춰 발포되는 불꽃 장관을 느껴야하지만, 한 번 그 인파를 경험해봤다면 그다음은 조금은 편안한 곳에서 보게 된다. 

 

현장에 간다면 강 바람이 차니까 방한용 외투와 편안한 신발이 필수, 아이들 손은 잠시라도 놓으면 안 된다.

한화불꽃축제 사이트에는 불꽃 명당, 불꽃 사진 잘 찍는 꿀팁, 필수 준비물 리스트도 게시되어 있으니 참조해 볼만 하다.

 

https://hanwhafireworks.com/kor/main.html

 

서울세계불꽃축제 2022

 

hanwhafireworks.com

 

형형색색의 불꽃을 마냥 감상하고 꺼져버리면 아쉬움이 짙게 남는다.

 

그럴 땐, 불꽃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제조방법까지

한화 불꽃연구소가 정리한 자료를 통해 간단히 익혀 보는 것도 꿀팁!

불꽃의 원리도 설명해주는 멋진 엄마!

 

 

https://m.hanwha.co.kr/media/discover/view.do?seq=185 

 

한화 불꽃연구소에서 알려주는 불꽃의 과학

밤하늘을 수놓는 찰나의 예술 ‘불꽃놀이’! 큰 즐거움을 선사하는 불꽃은 과연 어디에서 온 걸까요? 한화 불꽃연구소가 밝혀낸 ‘불꽃의 원리 연구 보고서’를 확인해보세요.

m.hanwha.co.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세 살도 채 되지 않아 한글을 익혔던 아이는 한글 공부를 시간 내어 혹은 학습지로 공부하지 않았다. 유일하게 한글과 숫자 노래를 불러주었던 친구는 「뽀로로」 애니메이션이었다. 물론 지금은 유튜브 영상에 과하게 노출되어 있지만, 당시만 해도 하루 2편이라는 약속을 철두철미하게 지켰던 아이였다. 눈만 뜨면 책을 잡았고, 조용하게 안 보인다 싶으면 책을 보고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그 아이가 어디 갔는지 많이 그립다.

 

교육을 목적으로 한 건 아니었지만, 우연한 기회에 전단지를 가지고 아이랑 놀았다. 물건과 가격 표기가 포함되도록 하나씩 잘라서 슈퍼마켓 놀이를 했었다. 그간 우리 집은 장난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았고 대부분 집에 있는 실물로만 가지고 놀다 보니 종류도 한정되었던 터라 꽤 만족스러웠다. 이후 아이는 종이 오리기 겸 슈퍼/시장 놀이 겸 여러 용도로 전단을 이용해 놀았다. 아이가 다양한 마트 전단을 원했던 터에, 양가 할머니들이 여기저기 전단을 수거하기도 했다. 

 

 

대형마트, 대형슈퍼마켓에서 행사상품 안내를 위한 전단지는 여러가지로 요긴했다. 흔히 보이는 식재료부터 집 안 구석구석에 있는 생활용품 명칭이 한눈에 보인다. 더욱이 계절에 따라 제철 과채류는 물론 생선들도 다르다. 전단지에 따라 과일류, 야채류 등은 물론 건어물, 공산품이 구분되어 있기도 하다. 색상별로 구분할 수도 있고, 모양이나 재질별로 나눠볼 수도 있다. 

 

그리고 백원 단위에서부터 천 단위, 만 단위, 가전제품들은 수 십~백만 단위까지 표기되어 있다. 큰 수 읽기에도 거부감이 없고 자연스럽게 돈의 크기에 대해서도 금세 알아챈다. 싸고 비싼 정도를 알게 되고, 정가와 할인에 대한 개념도 파악하게 되면서 어린 나이에도 경제관념도 자연스럽게 익힌다. 

 

마트/시장 보기를 할 때는 늘 아이랑 같이 다녔다. 뭐 하나 사달라는 떼를 쓰는 적이 없기에 마트에 데리고 다니는 것이 불편함이 없었던 아이였기에 더 수월했는지 모른다. 유치원이나 저학년 때는 할머니랑 하굣길에 참새가 방앗간을 오가듯 더 많이 다니던 아이였다. 그래서 종종 내가 장을 볼 때면, 늘 아이에게 물었다. 이거 싼 거야? 그럼 아이는 곧바로 "엄마 그건 OO마트에서는 얼마였고, XX슈퍼에서는 얼마야."

 

사실 고기를 거의 매일 먹고사는 육식파임에도 고기 부위가 사실 어디를 지칭하는지, 맛이나 가격이 어떠한지 등은 알지 못했다. 하지만 식재료를 어릴 때부터 꽤 뚫었던 아이는 「고기 수첩」이라는 책을 주문해달라 했고, 그 책을 통달하기에 이르렀다. 사실 이런 책이 있을지도 몰랐다. 비계보다는 살코기를 좋아하는 나와 같은 입맛을 지닌 아이는 가성비가 좋은 부위를 추천해 주고, 요리에 따른 맞춤 부위를 알려준다. 그것도 자기가 알고 있는 가격 수준이 어떠한지와 비교해주면서 말이다. 

 

 

유치원부터 4학년까지만 해도 요리하기를 좋아하던 아이는 어느새 자기가 많이 바쁘다며 요리하기를 드난시한다. 하지만 그전까지 아이는 나도 집에서 해 먹어보려고 시도하지 않았던 만두 빚기, 돈가스, 탕수육을 비롯해 손이 많이 가는 음식도 뚝딱 손쉽게 만들어 놓고 마지막 가열 단계를 해달라 청했다. 밀가루를 이용한 면 반죽, 쿠키, 제빵, 케이크 만들기는 힘도 안 들이고 하는 게 신기할 정도이다. 그중 압권은 용도에 따른 찰지기 정도가 너무나 적당한 반죽과 다양한 소스 만들기이다. 

 

전단지를 활용해 익힌 한글, 숫자 공부만 쓰려했다가 다른 쪽으로 많이 이야기가 펼쳐졌다.

 

다시 돌아와... 더 많은 전단을 한참을 올리고 늘어놓은 아이의 사진들이 있었던 거 같은데, 잘 보이지 않는다. 

 

요즘은 대형마트가 아니면 전단지를 발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면, 디지털 전단을 구할 수 있어 프린트가 가능하다면 돌아다니며 구하는 수고 없이 활용할 방법은 더 다양할 수도 있다.

 

농협 하나로마트 전단 (2022년 주차별 모음; 이미지 바로가기 연결)

 

이마트 전단광고

 

전단광고 > 이마트

확대 축소 이전 페이지 1 / 2 다음 페이지 닫기 한우데이 대한민국 한우 먹는날 10/27(목) ~ 10/30(일), 4일간 신세계포인트 50% 할인 11,380 / 11,680 -> 5,690/ 5,840원 한우 등심 1등급 / 1+ 등급 (100g/냉장, 국내

emartapp.emart.com

 

홈플러스 종이 전단(디지털)

 

마이홈플러스

마이홈플러스

my.homeplus.co.kr

 

구글 이미지 검색 > 마트 전단 

 

마트 전단 - Google 검색

마트전단지,마트전단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www.google.co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MBC 선을 넘은 녀석들 마스터X까지 끝났고, KBS1 역사저널 그날 시즌2, tvN 벌거벗은 세계사 등 몇 년전부터 부쩍 역사 컨텐츠 들이 많이 방영되고 있다.

 

아이가 역사를 좋아해서 가족이 함께 시간 맞춰 즐겨보는 역사교양프로그램들이다. 옆에서 아이에게 부연설명을 들어가면서 혹은 퀴즈를 내가면서 즐기는 시간이다.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정겨운 설민석쌤은 볼 수 없게 되었지만, 최태성쌤, 심용환쌤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뵙는다.

 

역사책도 다양하게 많이 보던 아이긴 하나, 코로나19와 함께 유튜브 채널 퍄퍄킴 역사, 최태성1TV, 디디행성도 자주 보고, 컨트리볼 덕후(?)로 심취해 있는 시기였다.

 

스토리로 익히니 재밌게 빠져드는 매력이 있나보다. 한국사-세계사를 어떻게 다 꿰지? 대견하긴 한데 학교에서 본격적인 역사 시간이 없는 시기이기도 했고, 아는 체를 막 하는 아이가 아니다보니 뭐라도 남겨봤으면 해서~

 

시험장 분위기도 느끼고 OMR 카드 실전도 체험할 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저학년 때 <기본>을 보러 다녀오고,
코로나19로 좀 텀을 두었다가 지난 4월에 한국사능력시험 <심화>로 응시했다.

 

시험은 평소 실력대로 보는 거라며 시험대비 공부를 안하고 가더니 다소 아쉬운 2급

(엄마 욕심 같아서는 이왕 역사에 관심 있을 때 1급 인증 받아두면 좋지 않을까 싶지만 ^^;) 

국가기관인 국가편찬위원회 주관하고 있어 어느 시험보다도 더 공신력이 느껴지는 면이 있긴 하다. 

 

2017년부터 수능에 한국사 필수과목으로 지정되기도 했고, 공무원 시험, 국비 유학생, 이공계 전문연구요원(병역) 선발 시, 일부 공기업 및 민간기업에서도 채용 혹은 승진 시 반영하고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www.historyexam.go.kr

 

2022년 기준, 년 6회(심화 6회, 기본 4회)로 실시되는 시험에서 남은 61회(10/22)와 62회(12/3) 시험은 모두 토요일이다.

스케쥴 상 토요일이 어려운 경우, 일요일 시험으로 치르는 경우가 있으니 내년 일정을 확인하고 응시해 보면 좋겠다. 

 

초등~고등학생은 기본(6~4급), 고등학생 심화 이상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인증 점수는 3급 혹은 2급 이상을 인정해주는 곳이 많다.

 

아래와 같은 연간 시험계획(홈페이지 탑재용) 파일은 11월 초순 경에 알림마당 > 공지사항에 제공되니 참고~

 

2022년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계획(홈페이지 탑재용).pdf
0.41MB

 

 

최근 15개 회차 시험문제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풀기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자~ 

(이렇게 정리되서 페이지가 나와있지 않았는데, 최근 리뉴얼했나보다)

 

변경된 심화, 기본과 그 이전 고급, 중급, 초급 수준별 문제와 답안이 수록되어 있다.

 

구지 시험이라는 부담은 주지 않더라도 메타인지 측면에서 혹은 주기적으로 리마인드 측면에서 집에서 정기적으로 자체 테스트를 해보면 좋을 자료이다.

 

 

http://tok.historyexam.go.kr/pc/grade.html

 

tok.historyexam.go.kr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