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자상가에서 오리온 본사 쪽으로 가다 보면 고가 옆에 허름하고 방치된 듯한 지역이 있다. 볼 때마다 누구 땅인지 몰라도 정비가 필요하다 싶었던 곳인데 드디어 해당 부지를 쓸모 있게 활용하는가 보다. 

 

2024년 준공 600여 명 수용 가능…'월 15만 원' 원전소재 지역 학생 우선 배치

 

경의선 용산선(용산역∼가좌역) 폐선 이후 20년 가까이 방치됐던 부지에 이르면 2024년 ‘대학생 연합기숙사’가 들어선다.

 

네이버 지도 _ 용산구 신계동 3-8번지

 


서울시는 한국장학재단과 함께 용산구 신계동 3-8번지 일대 철도 폐선부지 3698m²(약 1120평)에 ‘대학생 연합기숙사’ 건립을 추진한다고 12월 18일(일) 밝혔다.

해당 부지는 지하철 4·6호선 삼각지역 역세권에 위치한 국유지다. 용산선은 서울 용산역과 가좌역을 잇는 경의선 지선철도였으나, 철도 폐선 이후 오랜 시간 방치되면서 무허가 건축물과 쓰레기 투기 등으로 미관을 찌푸리게 했다. 

서울시는 기숙사 건립 부지 확정을 위한 후보지 검토를 지원하고 이달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완료했다.

 

서울시 _ 대학생 연합기숙사 조감도

 

대학생 연합기숙사는 2024년 준공을 목표로 내년에 착공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15층(연면적 약 1만 m²)으로, 600여 명(299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된다. 입주 대학생들을 위한 공동주방과 커뮤니티실 등도 배치해서 생활편의를 높인다. 기숙사비는 월 15만 원으로 평균 30~40만 원 선인 서울시 내 사립대 민자 기숙사보다 절반가량 저렴하다. 

 

건물 저층부에는 '서울형 키즈카페'와 체육시설 등 인근 지역 주민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배치해 지역사회에 열린 시설로 조성된다.

재원은 한국장학재단이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전이 위치한 경북 경주시,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전남 영광군으로부터 받은 기부금 400억 원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대신 기숙사가 지어지면 해당 지역 출신 대학생을 우선 선발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는 타 지역 대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연합기숙사를 짓게 됐다. 앞으로도 타 지역 출신 대학생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 뉴스 자료)

 

서울 용산구 신계동 철도 폐선부지에 '대학생 연합 기숙사' 건립 - 머니투데이

2024년 준공 600여명 수용 가능…'월 15만원' 원전소재 지역 학생 우선 배치서울시 용산구 신계동 철도 폐선부지가 약 6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학생 연합기숙사로 탈바꿈...

news.mt.co.kr

 

 

대학생 연합기숙사에서 전철역까지 다소 거리가 있고, 대학까지 정거장 수가 크게 상이하기는 하나, 지하철 노선별로 위치한 대학 리스트들은 다음과 같다. 

 

6호선: 서강대, 홍익대 서울캠퍼스, 고려대 서울캠퍼스, 서울여대, 한국예종 등

4호선: 숙명여대, 성균관대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가톨릭대, 상명대, 순복음대, 서울대 연건캠퍼스, 동국대, 한국방통대 등

1호선: 숙명여대, 경희대 서울캠퍼스, 성균관대, 한국외대 등

경의중앙선: 홍익대, 이화여대, 연세대 등

 

삼각지역과 남영역 청년 주택이 이미 들어선 터라, 대학생 연합기숙사까지 들어올 경우 좀 더 활기찬 모습이 기대된다. 대학생 연합기숙사 부지 면적을 삼각지역 청년 주택과 비교해도 차이가 크지 않을 정도로 보인다.

 

그밖에 대학생 연합기숙사가 준공될 무렵에는 오리온 본사도 이전 소식이 있다. 1957년 오리온이 풍국제과를 인수할 당시부터 사용해 온 본사 사옥에서 떠나 2024년 11월 도곡동 부지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오리온이 사옥을 옮기는 것은 약 70년 만의 일이다. 

 

 

 

오리온, 용산 떠난다...도곡동으로 본사 이전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오리온이 70년의 용산시대를 끝내고 도곡동에 새 둥지를 튼다.10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서울 용산구의 본사 사옥을 강남구 도곡동 부지로 이전을 추진한다. 현재

newspim.co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상위계획에 대해 알아야 장기적이고 큰 안목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국토종합계획

-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2020년 1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이 최종 공고(대통령공고 제295호)되었다.

 

그간 발표된 국토종합계획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10100000

 

서울도시계획포털 : 국토종합계획

 

urban.seoul.go.kr

 

현재 최신 자료는 2019년 12월 11일 공고된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20-2040이다(문서링크 연결). 총 263페이지 분량이기에 출력보다는 pdf로 보는 편을 추천한다. 

 

수도권정비계획

- 「국토기본법」에 따른 국토종합계획을 기본으로 수립되는 계획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수도권을 질서 있게 정비하고 균형 있게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10200000

 

서울도시계획포털 : 수도권정비계획

 

urban.seoul.go.kr

 

수도권광역도시계획

-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대상으로 수도권 차원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기능을 상호 연계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
- 국토계획법 체계상 최상위 계획으로서, 광역계획권 내 시·군이 수립하는 도시·군기본계획에 대한 지침 역할을 수행한다.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10300000

 

서울도시계획포털 : 수도권광역도시계획

 

urban.seoul.go.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연내 서울도심 기본계획이 나온다. 내일(11월 8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후생동 강당에서 '서울도심 기본계획안'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서울시가 7일 밝혔다.

 

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prsco_id=277&arti_id=0005173008 

 

연내 서울도심 기본계획 나온다…8일 공청회 개최

서울도심 기본계획안, 시민·전문가 의견 수렴최고높이→기준높이로 전환…녹지확충 유인책 내놓기로 서울시가 ‘서울도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과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land.naver.com

 

서울도심 기본계획은 향후 5년간 서울도심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전략과제를 마련하는 서울도심 발전 전략 청사진이다. '서울특별시 한양도성 역사도심 특별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한다. 이번 서울도심 기본계획안은 2020년 6월 착수해 전문가, 시·구 공무원, 시민참여단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여러 차례 회의와 토론 등을 거쳐 만들었다.

계획안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등 여건 변화를 반영해 과거와 미래를 함께 담을 수 있도록 역사보존과 개발이 공존하는 새로운 방향을 담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지난 5년간 도심의 성장이 정체되고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기존 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활력있는 도심, 매력넘치는 도심'이라는 비전을 설정했다.

 

시는 공청회 이후 관계기관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등 행정절차를 거쳐 12월 기본계획을 확정 및 공고할 계획이다.

 

종전까지 발표된 2030서울플랜(도시기본계획)은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20000000

 

서울도시계획포털 :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도시기본계획 20년 후 서울의 미래상과 발전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주택, 공원, 교통, 산업, 환경, 문화, 복지 등 다양한 부문별계획을 통합하고 조정하는 서울시의 최상위 계획입니다. 서울시

urban.seoul.go.kr

- 20년 후 서울의 미래상과 발전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주택, 공원, 교통, 산업, 환경, 문화, 복지 등 다양한 부문별계획을 통합하고 조정하는 서울시의 최상위 계획

- 서울시는 도시기본계획을 1990년 이후 3번에 걸쳐 수립, 지금까지 4번째가 나온 상태

- 서울플랜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도시기본계획을 대도시 서울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시민과 함께 수립한 서울형 도시기본계획이라는 의미를 담은 서울도시기본계획의 별칭

 

 

 

도 확인 가능하다.

 

이달 서울도시계획포털’이 전면 개편되어 서울시청이나 구청 방문 없이도 열람공고 등 도시계획 정보를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내용

-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 도시계획시설, 지구단위계획 등)안내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의 도시계획 열람공고(열람도서 포함) 확인

-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주민의견 제출 가능

- 알림서비스를 통해 도시관리계획(안) 열람공고 제공(신청자에 한함)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